Quantcast
Channel: 뉴스토마토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384186

김광두 원장 “벤처기업 기술 시장평가 기업 육성해야”

$
0
0
[뉴스토마토 차현정기자]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은 28일 기술금융이 활성화되려면 기술에 대한 시장가치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인프라가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무엇보다 이를 위한 전문인력과 기업 육성이 우선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김 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금융투자협회 주최로 열린 제2차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서 ‘창조경제와 기술금융’이라는 주제로 강연하며 이같이 밝혔다.
 
기술금융이란 연구개발을 포함한 기술혁신 활동과 사업화 과정에서 지원되는 자금지원 형태를 불문한 총체적 금융행위를 말한다.
 
기술평가에 의한 투자, 신용제공, 보증, 출연 등의 형태로 이뤄지는 기술금융의 대표적 형태는 간접금융 방식의 기술평가보증과 직접금융 방식의 벤처캐피탈 등이 있다.
 
김 원장은 “그동안 정부의 육성 정책으로 벤처산업이 양적으로 팽창할 수 있었지만, 시장이 아닌 정부가 주도·인증하는 방식으로 진행된 탓에 시장이 벤처기업 기술의 시장가치를 자발적으로 평가한 경험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시장이 기술의 시장가치를 평가하는 기능을 키우지 못하면, 내실이 튼튼하지 못한 벤처기업에 자금이 흘러들어가 ‘좀비기업’을 만들 수 있다는 우려도 내비쳤다. 이는 결국 “배수구가 막힌 저수지에 물을 쏟아 붓는 격”이라고 김 원장은 말했다.
 
창업투자회사가 중소·벤처기업이 만들어지는 초기단계에 투자하는 비중은 10%에 그치고, 대부분 이미 성장단계에 접어든 기업에 투자하는 상황에서 기술에 대한 시장가치가 제대로 평가되지 않아 시장이 자신감을 잃은 상태라는 설명이다.
 
현재 중소·벤처기업의 투자가 성장·성숙 기업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본연의 창업지원 기능이 약화됐다는 분석도 내놨다.
 
그는 “국내 기술금융은 86%가량이 기술보증과 정책자금 융자 등 간접금융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혁신형 창업기업에 대한 가장 적절한 지원방식은 직접금융 방식의 벤처캐피탈 투자”라고 강조했다.
 
기술의 경제적 가치평가를 위해선 전문인력과 기업을 양성하는 일이 시급할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아울러 벤처캐피탈이 투자를 꺼리는 초기 단계의 중소·벤처기업에 대해서는 정부가 앞장서야 한다고 김 원장은 말했다. 정책기관은 창업 초기단계에 집중해 기업의 연구·개발(R&D)과 사업화 초기 자금을 지원하고, 민간기관은 성장단계 이후에 자본을 공급하는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는 게 김 원장의 판단이다.
 
(사진제공=금융투자협회)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384186

Trending Articles



<script src="https://jsc.adskeeper.com/r/s/rssing.com.1596347.js" async> </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