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뉴스토마토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384256

한전, 밀양 송전탑 공사 강행..주민 반발 여전

$
0
0
[뉴스토마토 최병호기자] 정부가 경남 밀양시의 송전탑 공사를 강행하기로 하면서 주민과의 갈등이 더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력(015760)은 여름철 전력난 우려로 공사를 더 미룰 수 없다지만 지역 주민과 시민단체는 물론 정치권까지 반발하고 있어서다.
 
17일 한전은 당장 다음 주부터 밀양 송전탑 공사를 강행할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9월 공사가 중단된 후 8개월 만이다.
 
밀양 송전탑은 울산시 신고리원전에서 생산한 전기를 수도권에 공급하기 위해 울산에서 밀양을 거쳐 경남 창녕군의 변전소까지 약 90㎞ 구간에 걸쳐 설치하는 송전탑 중 일부다.
 
현재 전체 161기 중 109기가 건설됐지만 밀양 주민은 생존권과 재산권 보장을 요구하며 밀양시를 지나는 나머지 송전탑 설치를 거부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16일 '밀양 765㎸ 송전탑 반대 대책위원회'는 성명에서 "한전은 전력대란의 책임을 밀양 주민에게 씌우지 말라"며 "그동안 조환익 한전 사장이 7번이나 밀양을 찾아 주민의 호소를 듣는 등 대화하려고 한 노력은 무엇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책위에 따르면 조 한전 사장의 행동은 겉으로는 송전탑 문제 해결을 위해 밀양 주민의 요구를 듣는 척 하면서 내부적으로는 공사 강행을 차근차근 준비한 꼼수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전은 공사를 계속 연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올해 말부터 신고리 원전 3호기가 정상 가동되려면 이달에 공사를 시작해 송전탑 설치를 완료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양측이 팽팽히 맞서는 이유 중 하나는 '지중화 방식' 문제다. 밀양 주민과 대책위는 전자파와 안정성 위험을 거론하며 "땅속에 송전선을 묻자"고 요구했지만 한전은 "지중화 공사는 기간이 10년 이상 걸리고 공사비도 2조7000억원"이라며 반대했던 것이다.
 
하지만 대책위는 한전의 주장을 그대로 믿을 수 없다며 "공사기간과 비용 등에 대한 분명한 근거를 밝히고 관련 자료를 공개해 검증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책위의 또 다른 대안인 우회선로도 한전은 거부했다. 대책위는 송전탑을 세우는 대신 기존 선로의 전력량을 높이거나 기존 선로를 신고리원전과 연결하자고 제안했지만 한전은 "과부하 문제가 생길 수 있고, 다른 선로로 연결할 시간적 여유도 없다"는 것이다.
 
보상 문제도 난항을 겪고 있다. 한전은 애초에 '매년 지원금 24억원, 지역특수보상사업비 165억원 추가 지급' 등 13개 보상안을 내놨지만, 밀양 주민은 낮은 보상금액에 실망해 "차라리 보상금을 지중화 사업에 쓰라"며 거절했다.
 
밀양 주민이 문제 해결책으로 내놓은 전문가협의체 구성도 지지부진하다. 대책위는 "3개월간 협의체를 운영해 보고 문제를 논의하자"고 한데 반해 한전은 "시간이 없으니 협의체 구성과 논의를 공사와 병행하자"는 입장이다.
 
이처럼 각 사안마다 한전과 밀양 주민의 입장이 팽팽해 앞으로 둘 사이의 마찰이 예상된다. 한전은 공사 시작되도 주민과 대화를 계속 하겠다지만 이번처럼 기습적으로 공사 강행 의지를 밝힌 마당에 주민이 대화에 응해줄 지도 미지수다.
 
더군다나 송전탑 설치 예정지의 진입로를 밀양 주민이 점거한 상태기 때문에 한전이 무리하게 공사를 강행하며 장비와 인력을 투입할 경우 물리적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384256

Trending Articles